오늘의 진도:
언어 - JAVA1
데이터와 연산~문자열 다루기
* 어제의 진도:
밥먹으면서 수강
JAVA1 - 자바 기술의 응용
- 자바로 데스크탑 앱 만들기
- 자바로 사물 제어하기 (IoT)
- 자바로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1. 데이터와 연산
데이터는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그 데이터를 가지고 무언가, 즉 연산을 하고싶은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컴퓨터가 어떤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지 알아보자.
컴퓨터가 다룰 수 있는 데이터(데이터 타입)는 매우 다양하다.
숫자, 문자, 영상, 소리 등.
이러한 데이터들을 제어하는 것이 컴퓨터 공학이 하는 일이다.
데이터를 구분하는 이유
: 각각의 데이터마나 그 데이터의 특성에 맞는 처리 방식이 존재한다.
→ 자바에서는 어떻게 데이터들을 정리정돈하고 있고
각각의 데이터들마다 어떤 연산의 방법들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자.
---
자바에서 숫자나 문자같은 데이터를 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와 파일을 만든다.
기본 세팅을 마쳤다.
sout이라고 치고 Ctrl + Space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 "6"+"6"에서 +는 더하기가 아니라 결합 연산자이다.
∴ 컴퓨터를 다루는 스킬을 쌓아간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의 중요한 흐름을 갖는다.
① 내가 하고 있는 이 시스템에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 타입들이 존재하는지를 알아가는 방향
② 각각의 데이터 타입별로 어떤 연산 방법들이 존재하는지를 알아가는 방향
→ 이것들을 통해서 우리가 컴퓨터로 할 수 있는 일의 가능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2. 숫자와 연산
※ 파일을 한방에 만드는 방법
밑에 public에 체크하면 기본 문구(메인 메소드)까지 자동으로 나온다.
초록색 부분은 지운다.
연산자(Operator)
이렇게 Math(캐비넷)라고 치면 여러가지 명령들이 나오고 옆에 설명까지 나온다.
3. 문자열 다루기
큰 따옴표는 String(문자열), 작은 따옴표는 Character(영어 한 글자)를 나타낸다.
※ 역슬래쉬는 엔터키와 백스페이스키 사이의 \이다.
\n의 n은 new line의 약자다.
세번째 예에서, \를 통해서 그 뒤에 있는 어떤 임무가 있는 문자를 도망시키는 것, 해방시키는 것을 escape한다고 부른다.
---
leezche를 잘 안 쓸만한 것,
예를 들면 [[[name]]]같은 것으로 바꾼다.
'Java > 생활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5 생활코딩 (0) | 2020.05.15 |
---|---|
5/14(2) 생활코딩 (0) | 2020.05.15 |
5/12 생활코딩 (0) | 2020.05.12 |
5/11 생활코딩 - Java 시작 (0) | 2020.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