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SQL/생활코딩

생활코딩 - MySQL - 18. 인터넷과 DB

by SKim입니다 2020. 6. 8.

MySQL은 내부적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이다.

 

DB 서버에서 서버의 의미는?

 

 

먼저 인터넷에 대한 얘기를 해보자.

인터넷이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의 수는 2대이다.

 

인터넷의 의미는, 각자 흩어져 있는 컴퓨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컴퓨터들 간의 사회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한 대의 컴퓨터가 갖고 있는 한계를 초월하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이 두 대의 컴퓨터들 사이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한 대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에게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또 한 대의 컴퓨터는 그 정보에 응답한다.

 

 

ex) 웹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이 필요하고,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2대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한 대의 컴퓨터에는 웹브라우저 설치되어 있다.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주소를 치고 엔터를 치면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가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되는 이 세상에 있는 컴퓨터를 찾아간다.

 

 그 주소에 해당되는 컴퓨터가 요청한 정보를, 요청한 컴퓨터에게 쏴주면

 웹브라우저가 그 정보를 받아서 웹브라우저에 표시하면 그 과정이 끝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는 컴퓨터들은

정보를 요청하는 쪽과 응답하는 쪽으로 나눠진다.

 

요청하는 쪽 - 클라이언트, 고객, 갑

응답하는 쪽 - 서버, 사업자, 서비스 제공자, 을

 

즉, 인터넷이라는 것은

갑과 을에 해당되는 컴퓨터가 서로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하면서 동작하는 시스템이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에게 정보를 요청하는데,

이 관계가 웹이라면,

정보를 요청하는 컴퓨터에 설치돼있는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이다.

= 웹클라이언트

 

응답하는 서버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웹을 위한 프로그램을 웹서버라고 한다.

 

게임이라면 게임 클라이언트와 게임 서버,

채팅이라면 채팅 클라이언트와 채팅 서버.

 

 

우리가 MySQL을 설치하면

MySQL은 두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설치해준다.

- DB 클라이언트와 DB 서버

 

DB 서버에는 실제로 데이터가 저장되고,

DB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우리는 DB에 접속할 수 있다.

 

우리가 DB를 다룰 때, DB 서버를 직접 다룬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리는 DB 서버를 직접 다룰 수 없다.

 

DB 서버는 반드시 어떠한 형태로든 DB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야 된다.

우리가 사용한 DB 클라이언트는?

 

mysql이라고 했을 때 실행되는 명령어 기반의 프로그램이었다.

MySQL 모니터라고 써있다.

MySQL 모니터가 DB 클라이언트 중의 하나였던 것이고,

 

우리가 MySQL을 설치하면,

MySQL을 만든 사람들이

MySQL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번들로 제공하는

기본 클라이언트 = MySQL 모니터였다.

 

그리고 MySQL 모니터는

명령어를 통해서 DB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었다.

 

MySQL 워크벤치 또한 DB 클라이언트이다.

→ GUI 환경에서, 그래피컬한 환경에서, 마치 엑셀을 다루듯이 DB를 다룰 수 있다.

 

 

 

이렇게 됐을 때의 폭발적인 효과:

 DB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전 세계에 있는 수많은 DB 클라이언트들이

 저 DB 서버를 중심으로 해서

 데이터를 넣고 뻬고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웹이나 앱과 같은 UI를 사용하지 않고도

 MySQL 모니터나 MySQL 워크벤치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세계에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DB 서버를 이용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서로 주고받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