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 적용법:
1. 해당 태그 안에 style 속성으로
형식: style="속성:값;속성2:값2" ex) a herf="01.html" style="color:red;font-size:45px"
※ 여기서 style은 html의 속성이고, color는 style CSS 속성이다.
2. 선택자를 이용
(1) head 태그 안의 style 태그 안에
(2) style.css 파일 안에 →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형식: 선택자 { 속성:값;속성2:값2; } ex) a { color:red;text-decoration:none; }
※ 선택자의 종류
① tag 선택자 a {}
② class 선택자 .saw {} ex) a href="01.html" class="saw"
③ id 선택자 #active {} ex) a href="02.html" id="active"
※ class는 여러개 가질 수 있고, 띄어쓰기로 구분한다.
※ class와 id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 border 속성의 값들을 띄어쓰기로 구분하고 합쳐서 쓸 수 있다. ex) h1, a { border: 5px red solid }
박스모델:
HTML 태그 하나하나를 네모난 박스로 취급해서 그것의 부피감을 결정하는 것
① block level element - 화면 전체 사용
② inline element - 자기 크기만큼 사용
→ 이것은 display 속성으로 바꿀 수 있다. ex) display:inline
예제) h1 태그 아래쪽과 ol 태그 오른쪽에 테두리를 주고,
margin과 padding 값을 조정하여 그림과 같이 줄 긋기
그리드:
① div - block level element
② span - inline element
나란히 놓으려는 두 태그를 div id="grid"인 태그로 묶고
#grid { display:grid;grid-template-columns:150px 1fr }
예제) 그림과 같이 나란히 배열하고 padding 조정하기
반응형 디자인:
화면의 크기에 따라
웹페이지의 각 요소들이 반응해서
최적화된 모양으로 바뀌게 하는 것
미디어 쿼리: style.css파일 또는 head 태그 안의 style 태그 안에 쓴다.
@media(max-width:800px) { 속성 }
→ 화면의 가로 크기가 800px 이하일 때
예제) 위 그리드 모델에서 만들었던 것을
화면의 가로 크기가 800px 이하일 때는 그림처럼 바뀌도록 해보자.
'공부_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_JavaScript/유튜브 fcc - 2. ES6_1차 정리 (0) | 2020.06.22 |
---|---|
정리_JavaScript/유튜브 fcc - 1. JavaScript_2차 정리 (0) | 2020.06.17 |
정리_JavaScript/유튜브 fcc - 1. JavaScript_1차 정리 (0) | 2020.06.17 |
정리_JavaScript/생활코딩 (0) | 2020.06.11 |
정리_MySQL/생활코딩 (0) | 2020.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