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signment operator
== equality operator - data type이 다르면 같도록 변환해서 비교한다.
=== strict equality operator - data type이 다르면 false이다.
배열:
var arr = [ , , ]
arr[n][m]
arr.unshift(); - 맨 앞에 데이터 추가
arr.shift(); - 맨 앞의 데이터 제거
arr.push(); - 맨 뒤에 데이터 추가
arr.pop(); - 맨 뒤의 데이터 제거
객체:
var obj = { property1 : value1, property2 : value2 }
obj.property1 또는 obj[property1]
수정/추가 - obj.property1 = newValue
삭제 - delete obj.property2
property의 존재 여부 확인 - gaekche.hasOwnProperty → True/False 출력
조건문 - if statement:
if ( ) {
} else if ( ) {
} else {
}
조건문 - switch statement:
switch (val) {
case 1:
(break;)
case "Hi":
(break;)
(default:)
(break;)
}
break를 만나면 switch statement의 끝으로 간다.
break가 없으면 다음 case로 간다.
조건문 - Conditional (Ternary) Operator:
if-else expression을 한 줄로 쓸 수 있다.
if ( a === b ) {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return a === b ? true : false;
또는 multiple로도 사용 가능
return num > 0 ? "positive" : num < 0 ? "negative" : "zero";
반복문 - while loop:
var i = 0;
while ( i < 5 ) {
~~~;
i++;
}
반복문 - for loop:
for (var i = 0; i < 5; i++) {
~~~;
}
반복문 - do-while loop:
var i = 0;
do {
~~~;
i++;
} while ( i < 5 )
while loop는 조건을 먼저 체크한 후에 돌아간다.
do-while loop는 한 번 돌아간 후에 조건을 체크한다.
|| 사용하기:
만약 value가 존재한다면 앞의 것을 실행하고,
존재하지 않는다면 뒤의 것을 실행해라.
members[id][prop] = members[id][prop] || [];
랜덤 숫자 만들기:
0 ≤ x < 1 → Math.random();
0 ≤ x < 20인 정수 → Math.floor(Math.random() * 20)
parseInt 함수:
parseInt("10011") / parseInt("10011", 2)
string을 integer로 만들어준다.
integer로 변환될 수 없을 경우에는 Nan을 리턴한다.
10진법이 아닐 경우에는 두 번째 인자로 몇 진법인지 써준다.
※ 나머지 구하기 - 11 % 3 → 짝/홀수 determine
※ var objCopy = JSON.parse(JSON.stringify(obj)); 를 하면
객체를 카피해둘 수 있다.
※ escape
\n - new line
\r - carriage return
\t - tab
\b - backspace
\f - dorm feed
'공부_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_JavaScript/Traversy - Higher Order Functions & Arrays (0) | 2020.06.23 |
---|---|
정리_JavaScript/유튜브 fcc - 2. ES6_1차 정리 (0) | 2020.06.22 |
정리_JavaScript/유튜브 fcc - 1. JavaScript_1차 정리 (0) | 2020.06.17 |
정리_JavaScript/생활코딩 (0) | 2020.06.11 |
정리_CSS/생활코딩 (0) | 2020.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