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P40

5/23(3) 생활코딩 * 오늘의 진도 PHP 반복문 12. 반복문 - 반복문의 문법 while과 for 두 가지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1) while문 - 조건이 true인 동안 { } 안의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i++ $i += 1 $i = $i + 1 세 가지는 거의 같은 뜻이다. ※ for문은 안에 이 반복문에 필요한 요소들을 내장하고 있고 강제하고 있고, while문은 true냐 false냐에 따라서 반복문이 계속될지 중지될지를 구분한다. (2) for문 초기화 - 이 반복문이 실행될 때, 1회에 한해서 처음 실행된다. 반복 지속 여부 - true/false 중 하나만 올 수 있다. true이면 계속 반복, flase이면 반복 중지 반복 실행 - 이 반복문이 실행될 때마다 여기 있는 코드가 실행되게 된다... 2020. 5. 23.
5/23(2) 생활코딩 * 오늘의 진도 PHP 조건문 11. 조건문 - 조건문의 문법 조건문: 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에플리케이션을 다르게 동작하도록 하는 것 컴퓨터를 좀 더 똑똑하게 하는 것 조건문의 키워드: if ( ) 안에는 조건이 와야 한다. - 여기에 올 수 있는 값은 Boolean이다. 즉, true ( ) 안에 있는 값(=조건)이 true(참)일 때만 { } 사이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 두번째가 실행되면 모든 조건문이 끝나게 돼서, 그 뒤에 따라오는 것들은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11. 조건문 - 변수와 비교연산자 그리고 조건문 HTML 파일 PHP 파일 HTML 파일의 text input에 k8805를 입력하면 PHP 파일의 $_GET['id'] 부분이 k8805가 될 것이다. 그러면 k8805와 eg.. 2020. 5. 23.
5/23 생활코딩 * 오늘의 진도 PHP 입출력 그리고 폼과 HTTP 10. 입출력 그리고 폼과 HTTP 지금까지 우리가 배웠던 예제에서는 '우리가 지금부터 배우게 될 형태의 입력'은 없었다. = 누가, 언제, 어떻게 실행해도 항상 동일한 출력값을 받는 프로그램이었다.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는, 일방적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우리에게는 무언가를 입력하면, 그것을 계산하거나 처리해서 그 처리된 결과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어떻게 PHP 앱에 입력하는가를 보자. 여기에서 입력은 egoing, 출력은 Welcome, egoing이다. 즉, 내가 어떤 값을 입력하느냐에 따라 출력되는 내용이 달라졌다. = 25.php라는 앱이, 우리의 입력값에 따라 다른 출력값을 보내준다. = 유저와 상호작용하는 .. 2020. 5. 23.
5/22(2) 생활코딩 * 오늘의 진도 PHP 숫자와 문자, 변수, 비교 7. 숫자와 문자 - 숫자 7. 숫자와 문자 - 문자 따옴표로 묶여있지 않은 문자는 상수라는 데이터로 인지하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 escaping: \를 앞에 써줌으로써 "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의미(문자열의 시작)에서 일시적으로 해제시켜준다. 8. 변수와 상수 - 변수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배열, 객체 등도 들어갈 수 있다. 변수가 있다면 아래와 같은 코드를 그 아래처럼 만들 수 있다. → 변경 수정이 쉽다. 8. 변수와 상수 - 상수 사용자 정의 상수 상수는 한 번 정의되면 다른 것으로 정의될 수 없다. 상수를 사용하는 이유 1) 수많은 개발자가 수많은 코드를 작성할 경우, 어떤 개발자가 Money라는 값을 월급으로 정의했는데, 다른 개발자 혹은 .. 2020. 5. 22.
5/22 생활코딩 * 오늘의 진도 PHP 서버측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 6. 서버측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 초창기 웹의 모습: 서버에는 웹서버 설치 클라이언트에는 웹클라이언트 설치 →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가 요청하고 응답하는 단순한 구조였다. PHP, 자바, 파이썬, 펄과 같이 서버측 언어는 없었다. 이 과정에서 웹브라우저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보여줄 때, 그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가 담겨있는 것이 HTML(자원) 문서이다. (편지) 이 HTML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기(운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 HTTP이다. (중간의 여러가지 절차들, 집주소, 메시지가 어디를 거쳐서 가야하는 건지 등) URI, URL는 HTML과 같은 자원을 식별하는 주소이다. → HTML, HTTP, URI·URL이 인터넷의 3요소이다. (팀버너스리경.. 2020. 5. 22.